on
디지털 농업: 밀 작물 모형을 이용한 의사 결정 v2
모델링 - 지난 글
North Dakota Wheat growth Stage
-
레퍼런스를 참고하던 중 작기 중 최고온도가 32°C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는 base temperature를 0으로 설정해야한다는 점을 알게되었다.(참고문헌) 지금까지 참고한 레퍼런스 (참고문헌)의 경우 base temperature를 4.4°C (40°F 였다..)로 설정하였다.
-
North Dakota Wheat growth Stage는 기존의 stage (Tillering, Stem Extention, Heading, Ripening) 보다 조금 더 세분화되었다. (Sowing, Tiller & Extention, Heading, Ripening, Harvest)
def ndawn_stage(row):
if row['GDD_ndawn'] >= 0 and row['GDD_ndawn'] < 538:
return 'Sowing'
elif row['GDD_ndawn'] >= 538 and row['GDD_ndawn'] < 967:
return 'Tillering'
elif row['GDD_ndawn'] >= 967 and row['GDD_ndawn'] < 1255:
return 'Booting'
elif row['GDD_ndawn'] >= 1255 and row['GDD_ndawn'] < 1539:
return 'Heading'
elif row['GDD_ndawn'] >= 1539 and row['GDD_ndawn'] < 2000:
return 'Ripening'
elif row['GDD_ndawn'] >= 2000:
return 'Harvest'
2023-06-10 Yield
2022-03-01 Yield
- North Dakota Wheat growth Stage는 Sowing (파종), Tillering (분얼기), Booting (신장기), Heading (출수 및 개화기), Ripening (등숙기), Harvest (수확)로 나뉜다.
광량 및 평균 온도
Soil Water Content
Cumilative Precipitation
Radiation
Average Temperature
- 광량과 평균 온도의 경우 Stage를 바꾸어 보았음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.
강수량 및 토양 수분 분석
- Box Plot 밒 ANOVA test 수행
Precipitaion
Soil Water Content
- 강수량의 Stage별 ANOVA 분석
coef std err t P>|t| [0.025 0.975]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Intercept 16.2768 3.583 4.543 0.000 9.252 23.302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Booting] 20.2919 5.067 4.005 0.000 10.357 30.227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Harvest] 16.1833 7.733 2.093 0.036 1.019 31.348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Heading] 29.3973 5.619 5.232 0.000 18.379 40.415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Ripening] -11.5366 4.829 -2.389 0.017 -21.005 -2.068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Sowing] 3.593e-14 2.075 1.73e-14 1.000 -4.070 4.070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Tillering] 20.2418 2.868 7.058 0.000 14.618 25.865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토양 수분의 Stage별 ANOVA 분석
coef std err t P>|t| [0.025 0.975]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Intercept 0.2574 0.007 35.858 0.000 0.243 0.271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Booting] 0.1111 0.010 10.939 0.000 0.091 0.131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Harvest] 0.0039 0.015 0.254 0.799 -0.026 0.034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Heading] 0.1093 0.011 9.710 0.000 0.087 0.131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Ripening] 0.0165 0.010 1.709 0.088 -0.002 0.036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Sowing] 2.109e-15 0.004 5.07e-13 1.000 -0.008 0.008
C(yield_rank)[T.top5]:C(ndawn_stage)[Tillering] 0.0427 0.006 7.423 0.000 0.031 0.054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
강수량의 경우 Sowing (파종)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, top5가 low5보다 강수량의 평균이 높았다.
-
토양 수분 함량의 경우 Sowing (파종), Harvest (수확기)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, top5가 low5 보다 수분함량의 평균이 높았다.
-
“출수 후 등숙 기간에 있어서 기온 교차가 크고 강수량이 적은 것은 천립중의 증가에 영향을 주어 곡립을 충실하게 한다.” - 길잡이 70p
-
“밀재배기간 중 가뭄에 의한 감수를 피하기 위하여 관수를 할 경우가 있는데, 강우량이 적은 3월부터 5월까지 밀 생육 시기에 따른 관수 효과는 이삭 밸 때(수잉기)부터 이삭 팰때(출수기)에 관수하면 16% 정도 증수한다.” - 길잡이 152p
-
“벼에 있어서 등숙기는 뿌리의 활력이 급격히 감소되는 시기 이므로 계획적인 관개 조절은 벼 생육에도 도움이 되고 밀 파종에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.” - 길잡이 107p